[추석에 들려주고 싶은 시]ㅡ한국 서지월 시

朴春花 하아얀 박꽃

<p class="ql-block">**■[추석에 들려주고 싶은 시]한국 서지월 시-추석부(秋夕賦)</p><p class="ql-block"> 추석부(秋夕賦)</p><p class="ql-block"> 서 지 월</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슬슬 마당을 쓸다 보면</p><p class="ql-block">어느 새 달이 차고</p><p class="ql-block">먼 산 다랫골에서 소슬바람 듣는 소리―</p><p class="ql-block">추석이 대문간에</p><p class="ql-block">아버지처럼 서 있었다.</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하얀 도포자락에</p><p class="ql-block">어린 나를 곁에 두고</p><p class="ql-block">차례를 지내시던 아버지</p><p class="ql-block">향불 피워 먼저 </p><p class="ql-block">지방 붙이고</p><p class="ql-block">이어 잔을 쳐 절하면</p><p class="ql-block">할아버지 할머니 </p><p class="ql-block">평안하시온지요,</p><p class="ql-block">보이지 않는 적막 공간에</p><p class="ql-block">숨결이 돈다.</p><p class="ql-block">아무 것도 몰랐던</p><p class="ql-block">코흘리개 시절에</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밤 놓고 대추 놓고</p><p class="ql-block">송편도 놓고</p><p class="ql-block">사이좋게 온 식구 모두 모여</p><p class="ql-block"> 살아가는 것이 다 조상 덕이라 </p><p class="ql-block">이보다 아름답고 빛나는 일이</p><p class="ql-block"> 어디 있으랴,</p><p class="ql-block">길이길이 기릴 일이다.</p><p class="ql-block">자식 효도하는 마음 길러주고</p><p class="ql-block">콩 하나에도 열 사람 나눠먹는</p><p class="ql-block"> 우애 기르고</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마당을 쓸고</p><p class="ql-block">떡시루 항아리에 불 지피면</p><p class="ql-block">내일 있을 추석에</p><p class="ql-block">누님은 물동이 이고</p><p class="ql-block">물 길러 오고</p><p class="ql-block">어머니는 화전(花煎)을 굽고 계셨다.</p><p class="ql-block">어제같이 살아서 정정하시던 아버지</p><p class="ql-block">많이 많이 드시옵소서,</p><p class="ql-block">정성스레 차례준비 하면</p><p class="ql-block">샛노란 국화 향기가</p><p class="ql-block">온 뜰에 가득했다.</p> <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편집 랑송 :박춘화</p><p class="ql-block">2025년 10월6일 </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