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전

豆满江

<p class="ql-block">  사진은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에서 1992년 연변조선족자치주 성립 40돐에 기념하여 출판한 노래집 《60청춘닐리리》에 수록된 &lt;장한몽&gt;이다.연변동북군정대학길림분교교사연구회에서 편찬한것이다.</p><p class="ql-block"> 광복전 고복수의 노래로 된 &lt;장한몽&gt;가사는 이 책의것과 구별이 된다.부분적으로 틀린다.남과북이 다르고 간도에서도 다르다.어느것이 와전된것임은 틀림없을것이다.여기 년세가 있는분들의 곡조를 여러 곡 들어봤는데 비슷한 가락에 가사는 많이 다르다.심지어 칠절 팔절까지 들어본적이 있다.아래 가사는 남쪽의 것을 퍼온것이다.</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대동강변 부벽루에 산보하는</p><p class="ql-block">이수일과 심순애의 양인이로다</p><p class="ql-block">악수론정하는 것도 오날뿐이요</p><p class="ql-block">보보행진 산보함도 오날뿐이다</p><p class="ql-block">수일이가 학교를 마칠 때까지</p><p class="ql-block">어이하여 심순애야 못참았더냐</p><p class="ql-block">남편의 부족함이 있는 연고냐</p><p class="ql-block">불연이면 금전에 탐이 나더냐</p><p class="ql-block">[순애야 김중배의 다이야몬드가</p><p class="ql-block">그렀게도 탐이나더냐</p><p class="ql-block">에이! 악마! 매춘부!</p><p class="ql-block">만일에 내년 이밤 내명년 이밤</p><p class="ql-block">만일에 저달이 오늘같이 흐리거던</p><p class="ql-block">이수일이가 어디에선가</p><p class="ql-block">심순애 너를 원망하고</p><p class="ql-block">오늘같이 우는 줄이나 알아라]</p><p class="ql-block">낭군의 부족함은 없지요만은</p><p class="ql-block">당신을 외국유학 시키려고</p><p class="ql-block">부모님의 말씀대로 순종하여서</p><p class="ql-block">김중배의 가정으로 시집을 가요</p><p class="ql-block">순애야 반병신된 이수일이도</p><p class="ql-block">이 세상에 당당한 의기남아라</p><p class="ql-block">이상적인 나의 처를 돈과 바꾸어</p><p class="ql-block">외국유학하려 하는 내가 아니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