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차림에 대한 단상

英洙

<p class="ql-block">옷차림에 대한 단상</p><p class="ql-block">맹영수</p><p class="ql-block">누군가 옷차림은 한 사람의 이미지나 다름없다고 했다. 옷차림 하나에서도 우리는 누군가의 깨끗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p><p class="ql-block">사실 원시적 초기 인류는 실 한오리 걸치지 않고 그냥 라체로 살았다. 지금도 일부 아프리카의 토착민들은 풀잎따위나 혹은 끈으로 일부 은밀한 부분만 가리우고 원시인생활을 하고 있다. 당초 그들은 이성의 부끄러움따윈 근본 모르고 있다.</p><p class="ql-block">그만큼 현재 인류의 옷차림은 인간 지혜발단의 한 측면이라고 가히 말 할 수 있다.</p><p class="ql-block">환경에 따라 벗고 살아도 능히 살 수가 있는데 그렇다면 인간은 왜서 굳이 돈을 팔면서 옷차림을 해야 할까?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말 할 수가 있고 사색을 할 수가 있는 고급동물이다. 다시말해서 인간은 남녀간의 구별과 부끄러움, 그리고 복장미를 아는 동물이다. 필자는 인간이 옷차림을 하는 리유는 대개 네개 방면에 있다고 느껴진다</p><p class="ql-block">첫째로 인간은 자기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옷차림을 한다. 고온이나 엄한…등에 대비하기 위해 인간은 옷차림으로 자기를 보호해야 한다. 둘째로 인간은 바른 례의를 지키기 위해서 옷차림을 한다. 인간은 남녀구별을 알고 속되고 야한 것 등의 수치심을 알기에 적당한 옷차림으로 그러한 것을 배제 하고 있다. 세째로 인간은 옷차림으로 자기의 개성을 나타낸다. 지구상의 수많은 사람들이 각자 부동한 차림을 한것은 자기의 개성을 밝히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다. 네째로 옷차림은 사회적신분을 나타낸다. 이를테면 군복은 군인신분을 교복은 학생신분을…나타낸다.</p><p class="ql-block">그런데 살다보면 요즘 세상에 상술한 리유외에도 또 다른 리유가 따르지 않는지 하는 생각이 가끔 든다.</p><p class="ql-block">누군가 여름은 로출의 계절이고 시각의 계절이라더니 거리, 혹은 공공장소에서 시원한 옷차림들을 종종 볼 수가 있다. 미끈한 다리를 자랑하듯 녀성들의 짧은 바지들과 그에 어울리는 상의는 어느정도 여름의 거리에 상쾌함과 아름다움을 받쳐주고 있다. 그러나 뭐든 한계가 있다고 지나친 로출은 자신의 품위를 망가지게 하는 천박한 유혹으로 밖에 더 볼 수가 없다.</p><p class="ql-block">언젠가 필자는 딕톡에서 나이 든 한 녀인이 배꼽을 드러 낸 상의를 입고 몸을 흔드는 영상을 보게 되였는데 우연하다고나 할가 어느 강변산책중에서 나는 이런 모습을 또 보게 되였다. 한창 물덤벙 술덤벙 하는 십대나 이십대들이라면 그쯤에서 청춘의 오기와 광열로 보아 줄수도 있겠지만 이제는 알만큼 성숙된 오십대 좌우의 녀성이 그런 옷차림을 했다는 자체에서 나는 도무지 변명의 끈을 풀수가 없었다. 맹목적인 류행이라할까? 생각이 없다고 할까? 아니면 주책이라할까?...</p><p class="ql-block">옷차림은 류행이면서도 신분에 대한 상징이라고 했다. 누군가 서양의 옷차림이 몸매를 두드려지는데 있다면 동양의 옷차림은 전통적으로 감추려하는데 있다고 했다. 그 실례로 우리민족의 전통적 한복이 바로 그런 류형에 속하고 있다</p><p class="ql-block">지금은 글로벌세상이다. 그만큼 옷차림 역시 조류를 따를 수 있고 뭐를 입던지 자유인 것 만큼 나치게 왈가불가 할 필요는 없다. 허나 서양과 동양은 필경 다르고 민족과 민족은 필경 다르고 사람과 사람사이도 필경 다른 것이다. 남이 입었다고 해서 자기에게도 고운 것이고 어울리는 것이 아니다. 옷차림은 그야말로 사람에 따라 하나의 아름다움이고 예술이다. 때론 가장 보수적이고 전통적인 것이 가장 어울리고 아름답다는 말이 있다. 맹목적인 류행보다는 자기의 몸매와 자기의 나이, 그리고 자기의 신분에 맞는 옷차림이 가장 아름답고 편하고 즐거운 옷차림일 것이다.</p><p class="ql-block">천자만홍이 피듯 알룩달룩 아름다운 옷차림으로 우리의 거리가 보다 아름답고 우리의 시선이 보다 즐겁길 소원해 본다.</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