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鲜美术一代藏家 雲峰 李载贤 “回忆人生”

神彩画廊

<p class="ql-block">朝鲜美术评论理论家 雲峰·李载贤</p><p class="ql-block">画家简介:</p><p class="ql-block">리재현-운봉(1942~2025)</p><p class="ql-block">1942年1月20日 出生于平安北道香山郡云峯里。</p><p class="ql-block">1951年03月-1961年07月 毕业于万景台革命学院,南浦革命学院。</p><p class="ql-block">1961年08月-1965年07月 毕业于 平壤美术大学美术理论科。</p><p class="ql-block">1965年08月-1973年04月 文艺出版社记者。</p><p class="ql-block">1973年05月-1995年 10月 委任朝鲜美术家同盟中央委员会委员评论员,评论分局委员长,同盟中央委员会副委员长。</p><p class="ql-block">1995年11月委任 文艺艺术综合出版社副社长兼美术出版社主编</p><p class="ql-block">1997年 “朝鲜历代美术家篇览 ”作者</p><p class="ql-block">2025年3月12日 离世。</p><p class="ql-block">李载贤委任多个职务,朝鲜美术家同盟 中央委员会委员,执行委员,美术作品国家审议委员会 综合审议员,朝鲜记者同盟中央委员会美术分局副委员长,国际造型艺术协会朝鲜民族主义共和国民族美术委员会执行委员长委员。</p> <p class="ql-block">정다운 고향산천 故乡山川 ​나의 故乡은 궁벽한 벽촌僻村 雲峰이다. ​일곱 살에 고향을 떠나 60여 년 만에 고향 땅을 밟아 보았다. 산천도 변하고 사람도 바뀌였다. ​마음속 고향은 정답고 소중하지만 변한 산천은 낫(낯)이 설었다. 고향은 어린 시절 추억을 안고 있어 한없이 소중하고 정다운 것이다. 雲峰 (2017년) </p><p class="ql-block">*자신의 필명(筆名)인 호(號)를 그의 고향인 ‘운봉(雲峰)이라 지었다.</p><p class="ql-block"><br></p><p class="ql-block">第一季 “雲峰·回忆人生” -恩师</p> <p class="ql-block">  “존경하는 은사 현계승 · 조인규 선생에게 드리고 싶다. (2008년) 운봉”</p><p class="ql-block">赠给我恩师 玄继承(1908.11.7~1989.3.3),赵仁奎(1917.7.20~1994.6.4)老师 2008年 雲峰</p><p class="ql-block"> 朝鲜美术 史学者,美术评论家 李载贤因《朝鲜历代美术家篇览》(1999年版)意想不到的事件,从2003年9月17日~2010年10月止,长达7年间,离开一切职务岗位,参加了劳动改造。这一段曲折时期将在后面描述。这时期2~3年间“篇览”续 “活在回忆中”的文章,记录了非公开式画家点评及外传。</p><p class="ql-block">之后从2007年开始画写意没骨水墨画,就是文人画形式带有题跋的朝鲜画(李朝时期深受两班阶级喜爱)。上面的作品是开始学习朝鲜画的第二年(2008年)的作品,作为朝鲜画创作的初期作品,有着杰出的才能,越看越美丽,印象强烈的彩色没骨画作品。在早期的作品题跋内容里,献给两位恩师,这意味着在他的美术人生里起到了关键作用,在没有得到广泛认知的朝鲜美术和相关美术史及作家介绍时期,通过李载贤老师出版的《朝鲜历代美术家篇览》等数十篇论述和文人画形式的题跋,为朝鲜美术发展起到巨大影响和贡献。</p> <p class="ql-block">“朝鲜历代美术家篇览”(1994年版与1999年增补版)</p> <p class="ql-block">“명색이 리론가이나 변변한 리론 도서 한 권 내놓지 못했고 지금에 와서 서툴게 그림을 그리게 된 것은 첫 스승인 현계승 선생의 당부를 지켜주지 못한 죄송함이 있었고, 나이가 들면서 붓을 잡아보고 싶은 충동이 있었기 때문이다.</p><p class="ql-block">모든 일을 그만두고 한가한 시간이 생기니, 청운의 뜻이 되살아 난 것인지….”</p><p class="ql-block">作为理论家 没有出版过一本代表性的理论书籍,到如今也在画画是因为没有守住对第一任老师玄继承(1908~1989)的嘱托而愧疚,随着年龄的增长,有一种想拿起画笔的冲动。</p><p class="ql-block">辞去所有工作,有了空闲时间之后,青云的意志是否复活了…(作品题跋内容 )</p><p class="ql-block">“사회에 진출해서 미술기자로서 몇 년간 세월을 보내고 (조선미술가)동맹으로 조동된 후, 조인규 선생의 슬하에서 도를 닦고 미술 창작 실천을 많이 체험하면서 머리를 틔우고 정돈정리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p><p class="ql-block">进入社会后,作为美术记者度过了几年,被调动道“朝鲜美术家同盟”以后,在赵仁奎(1917~1994)老师门下磨练道,经历了很多美术创作的实践,磨砺自己,整理整顿才走到了今天…(作品题跋内容)</p> <p class="ql-block">玄继承 (1908.11.7~1989.3.3)</p><p class="ql-block">​李载贤老师是 1942年出生于平安北道 香山郡 云峰里,7岁(1949年)那年跟着父母离开了故乡,1956年从当年新义州第一人民学校及第二人民学校校长 玄继承 为师学习一年的朝鲜画绘画,也许这给他以后文人画绘画的原动力,奠定了基础,之所以把玄继承老师为人生第一任恩师的缘由。</p> <p class="ql-block">赵仁奎(1917.7.20~1994.6.4)</p><p class="ql-block">李载贤从玄继承老师那里学习后,自己练习绘画一段时间,1961年进入平壤美术大学理论系,1965年毕业后在“文学艺术总同盟出版社”记者生涯(1965年8月~1973年4月),1973年转为“朝鲜美术家同盟”的论述员。这时期认识了“朝鲜美术家同盟”评论分科 委员长兼同盟杂志《朝鲜美术》的编辑委员会委员 赵仁奎(1917~1994)老师。从赵老师那里接到的第一个任务就是为当年被评为第13届国展一等奖的郑永万(1938.12.5~1999.6.17)的朝鲜画《降仙的晚霞》(1973年作)写一篇评论,高度弘扬和革新朝鲜画的画法特性和优越性,重新确立现代朝鲜画面貌的作品观后感。 赵老师对新人培养非常严谨准确,李载贤经过三次校正后,他的评论才被发表在平壤报纸上。李载贤对赵仁奎老师回忆道“我深深地认为,笔者靠自己苦心努力完成的原稿,对我后来的写作活动起了决定性作用,赵老师是真正的老师” (作品题跋内容)</p><p class="ql-block">李载贤老师是朝鲜美术史学家 美术评论家及带有题跋内容的文人画形式的没骨画家。如今,他被朝鲜美术研究和相关学者及研究者们评为独一无二的人物。</p><p class="ql-block"> 他的作为奠基人物玄继承老师和赵仁奎老师,指定恩师并留下了献礼文字是非常重要意义的。</p><p class="ql-block">第二季 “雲峰·回忆人生”- 绘画“文人画”</p> <p class="ql-block">“나는 원래 조선화를 전문하지 않았다.</p><p class="ql-block"> 미술가편람 일로 신상에 뜻하지 않은 일이 생겨 한동안 현장에서 로동할 때 그림을 그릴 생각을 하였다. </p><p class="ql-block">그때가 2007년 내 나이 예순 다섯이였다. </p><p class="ql-block">정창모·선우영의 사심 없는 방조를 받으며 지금껏 볼품</p><p class="ql-block">없는 그림을 렴치없이 수백여 점 그렸다.”(2020년) </p><p class="ql-block">我本不是朝鲜画专业,有段时间在工地劳动(改造)想到了画画,那时 2007年 65岁,通过郑昶谟(1931.12.16~2010.7.12),鲜于荣/英(1946.11.29~2009.8.7)无私的帮助下,到如今不知廉耻画出几百幅 拙劣的画” 2020年 雲峰(78岁)</p> <p class="ql-block">郑昶谟 (1931.12.16~2010.7.12)</p> <p class="ql-block">鲜于荣/英 (1946.11.29~2009.8.7)</p> <p class="ql-block">因《朝鲜历代美术家篇览》事件,经历了(2003年9月17日~2010年10日止,满7年里退出了所有职务)在工地里不得不进行体力劳动,精神上和肉体上的苦难的曲折。 幸好在这空白期间,从繁忙的日常业务中解脱出来,静心的整理出记者生活时期(1965年8月~1973年4月)收集到的很多美术史料和美术活动及画坛上美术家们的行迹关联的文档。 这期间除了《朝鲜历代美术家篇览》外,还写了很多外传“雲峰 作品语录”,文人画形式的“写意朝鲜画”等。语录里有对“写意”美学谈论,还有“篇览”没有的内容,包括老艺术家的人间烟火等。</p> <p class="ql-block">李载贤老师“云峰作品语录”的动机是曾写道</p><p class="ql-block"> “通过(朝鲜美术史)同盟(朝鲜美术家同盟)里工作多年,撰写《朝鲜历代美术家篇览》时,与所有美术家有了更深的了解和交往,对美术家们有着很多往事回忆,所以有空时“活在回忆里”为题名,叙述了对同时代美术家们的体验和感想…无法忘记的部分美术家们的回忆,画一起与美术家们相关的故事,极少部分记录在作品里了”(雲峰 2016年)</p> <p class="ql-block">“山律 鲜于荣老师的 回忆”- 鲜于荣/英老师 故事</p> <p class="ql-block">这种作品语录聚集在一起,把作品与题跋内容,按自己的意图,发表了文人画作《雲峰集》,这是朝鲜画坛上珍贵的史料。 </p> <p class="ql-block">“사람이 한 생을 뒤돌아 볼 때는 마감을 </p><p class="ql-block">가까이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p><p class="ql-block">75세이면 짧게 산 인생은 아니다. </p><p class="ql-block">별로 추억할 것도 총화할 것도 없는 평범한 한 생이다.” </p><p class="ql-block">“当一个人回首一生时,我认为接近末尾了,75岁不是短暂的人生,没有什么值得回忆的,也没有什么值得炫耀的,只是一个平凡的一生。” </p><p class="ql-block">李载贤老师2017年75岁,进入人生黄昏期回顾自己人生,反思人生旅程的文章。75岁的人生虽然不长,平平淡淡地写了这样一段话。</p><p class="ql-block"> 但是,关于朝鲜美术,他的影响无处不在,关于朝鲜美术的美术史及美学,对于任何想要研究朝鲜美术家们作品世界的人来说,他的著作和记录都是必不可少的珍贵资料。</p><p class="ql-block"> 当他写这个文章的时候,是否预感到自己的生命即将结束呢? 2013年4月12日因脑血栓导致右手麻痹后,朝鲜艺术界对他关心和爱护,经常来访和鼓励,经过自己的不懈努力熬过了一次次病痛来袭(3次脑血栓),每次有所恢复,坚持画画,题跋上留下美术家们的珍贵史料,距离2017年如上所述预感到自己生命结束,已经过去了8年,由于病情的恶化,无法承受漫长生命的重量,李载贤先生以83岁的高龄离开了人世。 </p> <p class="ql-block">先生作品题跋里经常提到曾帮助过自己和为朝鲜美术发展做出贡献的美术家及家人,包括海外的朝鲜美术爱好者们,对他们的感激之情一一记在了心里,甚至通过作品题跋写上名字(藏家,朝鲜美术从业者)和美好祝福,来表达了真挚的谢意。</p><p class="ql-block">第三季 “雲峰·回忆人生”-传承</p> <p class="ql-block">운봉선생은 인물평전(評傳)인 『조선력대미술가편람』외에도 외전(外傳)이라 할 수 있는 ‘운봉 작품어록’을 썼다. </p><p class="ql-block">작품어록에는 당대화가들에 대한 그림움과 같이 지나온 이야기(외전)와 각종 전람회를 둘러보고난뒤의 소감, 심지어 돌아가신 화가들의 가족상황및 화가들간의 관계(계승), 그러고 해외에서 조선미술을 사랑하고 널리 소개 선전하고 있는 애호가들의 취미와 공헌에대한 고마움과 경의를 표현하였다.</p><p class="ql-block">《朝鲜历代美术家篇览》外,以外传形式的“雲峰作品 题跋”,作品中表达了对当代艺术家们的思念和他们的故事,还有每次参观各种大型美术展览会后的感想,甚至表达了已故画家的家人情况和画家们之间的师生关系,好友关系,组织活动(画家生日那天都有哪位画家前来祝贺)等。以及海外长期热爱并推广宣传朝鲜美术的爱好者,对他们的爱好和贡献,表达感谢和敬意。</p> <p class="ql-block">朝鲜美术爱好者 沈阳金老师</p><p class="ql-block">“김치문선생이 해외에서 주체미술에 공감하여 30여년간 꾸준히 연구보급하고 있는것은 매우 좋은일입니다. 미술은 아름답고 고상한 감정의 예술입니다. 조선화를 널리 소개 선전하는 김치문선생에게 경의를 드립니다. ”</p><p class="ql-block">金治文老师在海外对主体美术产生共鸣,30多年来不断研究和推广,是一件非常好的事情,美术是美丽而高尚的情感艺术。向广为介绍和宣传朝鲜画的金治文老师致敬。2016年 雲峰.</p> <p class="ql-block">“김치문선생이 백두호반에 핀 꽃그림을 사랑하시기에 다시 그려보았습니다. 추억에 사는 인생 칠칠인 2019년 4월15일 태양절날 아침에 그리다.” 운봉.</p> <p class="ql-block">朝鲜美术爱好者 北京朴总</p><p class="ql-block">“강은 건너봐야 깊이를 알수 있고 산은 올라보아야 그높이를 알수 있다. 무릇 사람은 사귀여 봐야 진속을 알수 있거니 자연과 사회의 리치는 다를바 없다. 훌륭한 미술 작품은 시대를 대변하고 세기와 더불어 길이 전해진다. 미술을 아끼고 사랑함은 인간의 품격을 높여준다. 그림은 몇 톤의 금과도 바꿀수 없는 고귀한 정신적 재보이다. 참다운 문화적 재보의 보호자 박문빈선생을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추억에 사는 인생 76세 2018년 5월8일 운봉.</p><p class="ql-block">过河方知深浅,上山方知高低,人是通过交往才能了解其内心,自然和社会的规律也是一样的。 优秀的美术作品代表着一个时代,并千古流传。热爱美术,可以提升人的品格,美术作品是用金钱衡量不了的精神财富。对真正文化财富的守护者朴文彬先生表示赞赏和尊敬。 2018年 雲峰</p> <p class="ql-block">“박문빈선생은 30여년간 주체미술을 꾸준히 소개 선전한 조선미술의 관록 있는 전문가이다. ” 2018. 운봉.</p> <p class="ql-block">雲峰·册页</p><p class="ql-block">“주체미술을 널리 보급선전하고 있는 고미화선생에게 ”</p><p class="ql-block"> 인생 76세된 2018년 11월 운봉.</p><p class="ql-block">李快大与李如星兄弟关系.</p><p class="ql-block">禹致善与任驷俊继承高丽青瓷.</p><p class="ql-block">郑昌波,本名 申艺均.</p><p class="ql-block">裴云成 留学欧洲(1930年代).</p><p class="ql-block">文学洙 平壤美术大学首任教授.</p><p class="ql-block">郑温女 平壤个人画展(1994).</p><p class="ql-block">韩相益 评传 1965年之前主题画,末年开始画风景画.</p><p class="ql-block">咸昌渊和他的艺术 世界巨匠.</p><p class="ql-block">金观镐与崔延海 师生关系</p><p class="ql-block">郑昶谟与他的作品</p><p class="ql-block">郑永万与和他在一起的日子</p><p class="ql-block">金瑢俊与他的成就</p><p class="ql-block">郑锺汝与他的成就</p><p class="ql-block">李硕镐与朝鲜画发展</p><p class="ql-block">光复一世艺术家们</p><p class="ql-block">光复一世二世朝鲜画的传承</p><p class="ql-block">李硕镐、金瑢俊、郑锺汝、黄永骏、郑永万、郑昶谟、鲜于荣.</p><p class="ql-block">金观镐、鲜于澹、吉镇燮、郑宽徹、黄宪永、文学洙、韩相益、金石龙、李快大、郑温女、洪成哲、</p><p class="ql-block">裴云成、郑昌波、郑玄雄、柳焕基、咸昌渊、张万姬、</p><p class="ql-block">姜浩、林洪恩、李道益、林炳森、黄龙洙、</p><p class="ql-block">禹致善、任驷俊等.</p> <p class="ql-block">爷爷嘱咐孙子的一句话</p><p class="ql-block">“人要身体健康,更重要的是心地善良。”</p><p class="ql-block">在2016年10月14日孙子来电话时嘱咐他… 雲峰 书房。</p><p class="ql-block">할아버지(운봉)가 손자(리운우)에게 당부하는 말</p><p class="ql-block">사람은 몸이 좋아야 하고 그보다는 마음이 좋아야 한다.</p><p class="ql-block">2016년 10월14일 전화를 걸어온 손자에게 할아버지가 당부하는 말. 운봉 서재에서 </p><p class="ql-block"> </p> <p class="ql-block">每年通过两位藏家进行朝鲜美术交流学习,让我们更加珍惜朝鲜美术作品和美术家们的过往(人间烟火”,加深了对朝鲜美术的理解。(每年的清明节期间)感谢!</p> <p class="ql-block">리재현 선생 약력</p><p class="ql-block">(1942.1.20~2025.3.12)</p><p class="ql-block">1942.1.20. 평안북도 향산군 운봉리 출생</p><p class="ql-block">1951.3~1961.7. 만경대 혁명학원·남포 혁명학원 수학</p><p class="ql-block">1956~. 현계승에게 조선화 사사</p><p class="ql-block">1961.8~1965.7. 평양미대 미술리론과 입학 및 졸업</p><p class="ql-block">1965.8~1973.4. 「문예출판사」-당시. 이후 「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기자.</p><p class="ql-block">조인규에게 미술(이론)창작 실천체험 사사</p><p class="ql-block">1973.5~1995.10.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논설원,평론분과위원장, 동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p><p class="ql-block">1976. 운봉의 원대한 꿈인 “3대 계획” 설정</p><p class="ql-block"> : 1. 미술 유산 정리를 통한 역대 미술가들의 자료 종합 정리 </p><p class="ql-block"> ─편람. 작품어록. 운봉집 등으로 실현.</p><p class="ql-block"> 2. 미술 작품 수집 및 운봉화랑 운영</p><p class="ql-block"> ─고난의 행군 시기 (1995~2005년) 대외 전람회 전시 판매 등으로 실현되지 못함.</p><p class="ql-block"> 3. 동시대 미술가들의 그림과 함께 필적·인장 및 운봉 제발(題跋) 수집 정리</p><p class="ql-block"> ─운봉집. 별건의 미술작품 등으로 실현.</p><p class="ql-block">1994. 『조선력대미술가편람』 편찬</p><p class="ql-block">1995.11~ 〈문학예술종합출판사〉 부사장 겸 미술출판사 주필</p><p class="ql-block">1996. 「조선현대미술작품전」 전시 기획─중국 심양로신미술학원 미술관</p><p class="ql-block">1999. 『조선력대미술가편람』(증보판) 편찬</p><p class="ql-block">~2002. 「연길·심양(2회)·북경 전람회」 전시 기획─수천 점으로 4회에 걸쳐 대외 선전 및 판매</p><p class="ql-block">2003.9.17~2010.10. 『조선력대미술가편람』 일로 신상에 뜻하지 않는 곡절을 겪으며 현장 로동생활을 하다가, 만 7년만에 명예회복 및 복권됨</p><p class="ql-block">2004~2007. 편람의 속편 “추억에 산다”(일명. 추억에 사는 인생) 제하의 인물 평전에 대한 외전 기록</p><p class="ql-block">2007~. 조선화 창작 시작. 정종여 : 실천적 이해, 정창모·선우영 : 구체적인 방조</p><p class="ql-block">2010. 10. 직위 복권 및 명예 회복</p><p class="ql-block">2011.4. 「송화미술원」 회원 가입</p><p class="ql-block">2013.4.12~. 뇌혈전으로 오른손 마비 및 이로 인한 창작 제약을 극복하고 지속적인 문인화 창작 발표.</p><p class="ql-block">2025.3.12. 뇌혈전 3차병세가 악화되어 별세.</p><p class="ql-block">​대표작</p><p class="ql-block">공식출품작 : ·2011.4. 최초 송화미술전 출품(3점) : 《이른 아침》 《황금산 기슭》 《모란봉 백살구꽃》</p><p class="ql-block"> ·2012.4. 송화미술전 출품(2점)</p><p class="ql-block"> ·2013.4. 송화미술전 출품 : 《수세미 오이》─조선미술가동맹기관지 「미술」에 실림.</p><p class="ql-block"> ·2014.4. 송화미술전 출품 : 《줄당콩》</p><p class="ql-block"> ·2017.4. 송화미술전 출품 : 《은행나무》</p><p class="ql-block"> ·2019.4. 송화미술전 출품(2점) : 《봄》 《칠보산 일경》</p><p class="ql-block">​서화집 : 《운봉집(1)》(1995년 1월)─동시대 미술가(조선화)락관 모음집.</p><p class="ql-block"> 《운봉집》(2001년 5월)─동시대 미술가(조선화)들의 제발(題跋) 모음집.</p><p class="ql-block"> 《운봉집》(2012년. 2015년 외 2권)─운봉 자신의 작품과 함께 발제 (跋題)를 통한 조선미술사 기술, 사의(寫意)에 대한 미학적 담론, 조선미술가들의 사람사는 정서가 물씬 풍기는 못다한 이야기 등의 문인화 모음집.</p><p class="ql-block">인물평전 : </p><p class="ql-block">정창모 : 《효원과 운봉》 (2018년 1월)</p><p class="ql-block">한상익 : 《류별난 미술가 한상익 선생》(2018년 2월) 림홍은 : 《림홍은전》(2018년 2월과 6월 사이)</p><p class="ql-block"> 함창연 : 《함창연과 그의 예술》(2018년 6월)</p><p class="ql-block"> 백학훈 : 《웅해 백학훈전》(2018년 11월)</p><p class="ql-block"> 정창모 : 《효원과 운봉(제2권)》(2019년 4월)</p><p class="ql-block"> 선우영 : 《산률 선우영에 대한 간단한 추억》(2019년 9월)</p><p class="ql-block"> 한경보 : 《연필화의 선각자 한경보》(2019년 10월)</p><p class="ql-block"> 함창연 : 《미술재사 함창연(함창연과 운봉)》(2019년 10월)</p><p class="ql-block">再次感谢李载贤先生用一生热忱,留给我们的珍贵朝鲜美术资料和藏品,虽然他已离去,但他的艺术精神,我们会永远铭记,传承他对绘画的热爱和执着。</p><p class="ql-block"> </p><p class="ql-block"> 2025.6.10. 沈阳 神彩画廊.</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