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 style="color:rgb(255, 138, 0);">대나무 숲은 바람을 잡지 않는다 </b></p><p class="ql-block"> 두 스님이 시주를 마치고 절로 들어가던 중에 시냇물을 건너게 되였습니다. 시냇가에 한 아름다운 녀인이 서 있었는데 물살이 세고 징검다리가 없어서 녀인은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습니다.</p><p class="ql-block"> 한 스님이 녀인을 가까이 해서는 아니 되니 녀인을 그냥 두고 서둘러 시냇물을 건너자고 했습니다.</p><p class="ql-block"> 그러나 다른 스님은 그럴 수 없다며 녀인에게 등을 들이대며 업어 주겠다고 했습니다.</p><p class="ql-block"> 녀인을 건너게 해준 후 두 스님은 다시 길을 재촉하면서 걸어갔습니다.</p><p class="ql-block"> 그러자 조금 전에 녀인을 업지 않았던 스님이 화난 목소리로 말했습니다.</p><p class="ql-block"> "수도하는 몸으로 녀인의 몸에 손을 대다니 자네는 부끄럽지도 않은가?"</p><p class="ql-block"> 녀인을 업었던 스님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녀인을 업지 않았던 스님이 더욱 화가 나서 언성을 높였습니다.</p><p class="ql-block"> "자네는 단순히 그 녀인이 시냇물을 건널 수 있게 도왔을 뿐이라고 말하고 싶겠지만 녀인을 가까이 해서는 안 되는 것이 우리의 신성한 계율이라는 것을 어찌 잊었단 말인가?"</p><p class="ql-block"> 그 스님은 계속해서 동료스님을 질책했습니다. 두어 시간 쯤 계속 잔소리를 듣던 스님이 더 이상 참을 수 없다는 듯 껄껄 웃으며 말했습니다.</p><p class="ql-block"> "이 사람아 나는 벌써 두어 시간 전에 그 녀인을 시냇가에 내려놓고 왔는데 자네는 아직도 그 녀인을 등에 업고 있는가?"</p><p class="ql-block"> 사람들은 집착하고 소유하려고 합니다.그러나 자연은 결코 혼자 소유하려고 욕심부리지 않습니다. </p><p class="ql-block"> 바람이 대나무숲에 불어와도 바람이 지나가고 나면 대나무숲은 소리를 남기지 않습니다.</p><p class="ql-block"> 기러기가 연못을 스쳐 지나가도 그 뿐 연못은 기러기의 흔적을 남겨두지 않습니다.</p><p class="ql-block"> 대숲은 애써 바람을 잡으려 하지 않고 연못도 애써 기러기를 잡으려 하지 않습니다.</p><p class="ql-block"> 가면 가는대로 오면 오는 대로 자연은 무엇에건 집착하거나 미련을 두지 않습니다.</p><p class="ql-block"> 핵심 가치와 노하우는 공유해야 하지만 지나치게 형식적인 것들에 집착하여 소중한 핵심 가치를 잃어버리지 않았으면 합니다.</p><p class="ql-block"> 집착하여 소유하고 잡아두려 하기 보다는 잠시 머무르는 시간만이라도 정성을 다하고최선을 다하여 반갑게 환영하고 서로가 소중히 간직했으면 좋겠습니다.</p><p class="ql-block"> 스님이 녀인을 건네주고 마음 쓰지 않듯이 대숲이 바람을 미련 없이 보내주고 연못이 기러기 흔적을 남기지 않듯이 한번 왔다가 되돌아 가는 소풍 같은 인생에서 소유에 너무 집착하지 말고 자연스레 라치에 알맞게 정성과 사랑을 다하면서 살아갔으면 좋겠습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좋은 아침입니다.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손에 쥔 것이 많으면 손이 아픕니다.</p><p class="ql-block"> (친구가 보내온 글이 좋아서 美篇에 담습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025.4.2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