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诗人 杨明今</p> <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 style="color:rgb(176, 79, 187);">초불 (외 1수</b><span style="color:rgb(176, 79, 187);">)</span></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양명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몸을 태우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그래서 키가 작아지는 초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키가 작아질수록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밝은 광명을 선사하는 초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초불은 명멸에 가까워 가는 순간에도</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자신의 가치를 더 하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는 초불 너에게서</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태우며 빛을 선사하는 인생을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조용히 배워가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024.9.15</p> <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 style="color:rgb(176, 79, 187);">코스모스</b></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녀자인 나더러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굳이 꽃이 되라면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는 코스모스로 되고 싶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약한 바람에도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자유로이 흔들리면서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가을을 부르는 꽃</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찬서리에 움츠리는 들국화의 서러움과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래일을 기약하는 락엽의 비장함과 함께</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가을을 꿋꿋이 장식하는 꽃</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가을노래가 하도 아름다워</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겨울에도 가지를 꺾이지 않고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가을을 영원히 박제하는 꽃</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r></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녀자인 나더러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굳이 꽃이 되라면</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는 그런 코스모스로 되고 싶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024.10.23</p> <p class="ql-block">[시평]</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b style="color:rgb(176, 79, 187);"><i>아름다운 령혼의 시 </i></b></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손룡호 </p><p class="ql-block"> 오늘 양명금이 쓴 시 《초불》, 《코스모스》를 감명깊게 읽었다. </p><p class="ql-block"> 양명금의 따뜻한 인품과 사람됨됨이에 탄복하는 나로서 그녀의 두 다리 못쓰는 불구된 몸에 반하여 50여성상 자기보다 남을, 자기 아픔보다 남의 아픔을, 자기 수요보다 남의 수요를 먼저 감수하고 느끼고 도와주고 싶어하는 그 순결하고 아름다운 심령이 고향떠난 사람들이 기대고 싶은《고향의 언덕》과 같아 두 편의 시를 읽고 나의 생각을 적어 본다. </p><p class="ql-block"> 초불은 이렇게 쓰고 있다.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1</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몸을 태우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그래서 키가 작아지는 초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키가 작아질수록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밝은 광명을 선사하는 초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3</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초불은 명멸에 가까워 가는 순간에도</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자신의 가치를 더하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4</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는 초불 너에게서</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태우며 빛을 선사하는 인생을</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조용히 배워가고 있다</p><p class="ql-block"> 이 시를 작자가 말하고저 하는 뜻에 따라 쉽게 풀어 쓴다면 아래와 같이 쓸 수도 있을것 같다.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초 불</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생은 나날히 불타가고 있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날히 줄어만 드는 인생</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남은 시간이 적어질수록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세상에 보탬이 되는 일을 하고 싶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3</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생이 꺼지는 순간에도</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사랑의 헌신은 멈추지 않을 터</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4</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나는 살아오면서</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헌신하는 값진 인생가치를 배웠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1</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긍정적 주제</p><p class="ql-block"> 《초불》은 어둠을 밣히기 위하여 자기몸을 태운다. 자기를 희생한다. 세상의 모든 성취는 모두다 사람들이 쏟아 부은 노력속에 로동속에 초불처럼 자기를 불태우는 희생속에 이루어 지는 것이다. </p><p class="ql-block"> 우리가 만들어 내는 한부 한부의 영화도 영화를 사랑하는 우리 회원들의 지혜와 장끼를 장악한 제작기술을 무보수로 헌신하기때문에 출품하는 것이다. </p><p class="ql-block"> 《코스모스》는 다른 꽃들은 다 누렇게 살라졌어도 쌀쌀한 한로에도 꺽끼지 않고 태양의 열기를 받으며 살아 남아 있다. 시인은 코스모스의 이런 굴강한 생리를 찬미하고 있다. </p><p class="ql-block"> 시인은 생의 마지막까지 그냥 추위속에서도 피여나는 코스모스와 같은 꽃이 되고 싶어한다. </p><p class="ql-block"> 두 다리 못쓰는 지체장애자로서 이 몇해간 자주 아파나는 몸을 절감하면서 생명의 남은 시간의 소중함을 더 귀중하게 절감하면서 삶과 죽음의 치렬한 사경선에서 고민하고 있다. </p><p class="ql-block"> 남은 시간이, 남은 시간내에 해야 할 일들이 더 소중하고 값지고 압력있게 위압해온다. </p><p class="ql-block"> 옳바른 주제, 긍정적주제는 독자들에게 긍정적 사유를 심어주어 어려움을 이겨내고 보다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강한 정신력을산생하게 하는 것이다.</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채용한 수법의 매력</p><p class="ql-block"> 초불은 점진적수법을 채용하여 1, 2, 3련에서는 초불이《몸을 태우고 있다. 》, 《키가 작아진다. 》, 《명멸에 가까운 순간에도》, 이와같이 초불이 타 들어가는 형태적 물리현상을 점층법으로 그려내면서 4절에서는《태우며 빛을 선사하는 인생을 조용히 배워가고 있다.》고 종합하면서 어둠을 밣히는 초불의 본질을 찬미하고《조용히》겸손하게 배워가고 있는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 </p><p class="ql-block"> 여기서《조용히》는 객관사물의 합법칙성에 대한 존경이고 세상만물의 순리를 따라야 한다는 말이 되기도 한다. </p><p class="ql-block"> 《코스모스》에서는 1련에서 작접 문제를 제기하고 답을 말한다. </p><p class="ql-block"> 《녀자인 나더러 굳이 꽃이 되라면 나는 코스모스로 되고 싶다.》</p><p class="ql-block"> 다음 왜서 코스모스가 되고 싶은 리유를 설명한다. </p><p class="ql-block"> 《약한 바람에도 자유로이 흔들리면서 가을을 부르는 꽃》,《가을을 부르는 꽃》이 첫째 리유이다. </p><p class="ql-block"> 《찬서리에 움츠리는 들국화의 서러움과 래일을 기약하는 락엽의 비장함과 함께 가을을 꿋꿋이 장식하는 꽃》, 《가을을 꿋꿋이 장식하는 꽃》이 둘째 리유이다. </p><p class="ql-block"> 《가을노래가 하도 아름다워 겨울에도 가지를 꺾이지 않고 가을을 영원히 박제하는 꽃》,2련과 3련에서는 《가을을 부르는 꽃》,《가을을 꿋꿋이 장식하는 꽃》으로 찬미하고 4련에서는 《가을 노래가 하도 아름다워》《겨울에도 가지를 꺾이지 않고 가을을 영원히 박제하는 꽃》이라고 귀납한다. </p><p class="ql-block"> 시에서 겨울은 언급하지 않았다. 가을만 말하였다. 코스모스의 생명력은 모든 꽃이 다 피여나는 봄날에 여름날에 있는것이 아니라 추위가 시작되는 가을, 마가을에 있다. </p><p class="ql-block"> 작자는《초불》이나《코스모스》의 생리적, 물리적, 화학적 성장소멸의 원리를 잘 알고 있다. 자연과 인간, 자연현상의 어느 모퉁이를 인간 정서와 접목시켜 의인화 수법으로《초불》,《코스모스》의 어느 본질적 특징을 섬세하개 묘사하면서 작자의 사상적 추구와 리념을 안받침하여 은유적 수법으로 층차있게 서정적으로 잘 표현하였다. </p><p class="ql-block"> 욕심을 부려 살짝 요구를 제기한다면 주제사상을 좀 더 숨겼더라면 더 강한 시운이 터져 나올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p><p class="ql-block"> 지금 지상에 나오는 시들을 두루두루 살펴보면 난해시가 너무 많다. 난해할수록 명시라고 자처하는 사람들도 있다. </p><p class="ql-block"> 지적하고 싶은 것은 우리문학은 문학하는 사람들만 볼 수 있고 리해할 수 있는 독점적인 문학이 되여서는 안된다.</p><p class="ql-block"> 이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읽어보고 공감을 느끼고 고무와 편달을 받아 사상의식을 제고하고 삶의 옳바른 정신세계를 구축해 나아가는데 유조해야 문학이 사회적, 교육적, 선두적인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p><p class="ql-block"> 끝으로 영명금 디카 시인이 좋은 디카시도 계속 창작하면서 구비하고 있는 애증이 분명한 민감한 관찰력과 잠재한 창작재질로 시의 사회생활창작터전에서 싹트는 시싹을 제때에 포착하여 시풍(诗丰)을 안아오기를 미덥게 기대해 본다. </p><p class="ql-block" style="text-align:center;">2025.4.19</p>